728x90
시퀀스 다이어그램은 도메인에 대한 클래스 다이어그램을 작성한 뒤 기능을 설계할 때 사용하면 유용하다.
다른 사람에게 설명할 때뿐만 아니라 스스로가 기능에 대한 흐름을 이해하고 개선하는 데 도움이 많이 된다.
손으로 그린다거나, 특정 툴을 사용하며 꽤 많은 소요 시간으로 귀찮음을 경험했었다면 plantUML 활용이 도움이 될 것이다.
시퀀스 다이어그램에 대한 개념과 plantUML의 기능 및 사용법은 글 아래 참고자료를 확인해주시길 바라며, 예시 기능의 표현을 통해 직관적인 이해를 돕고자 한다.
- 포스트 수정 시 외부 api를 연동하여 업데이트를 진행하고, post를 관심사로 갖는 도메인이 변경사항을 구독하여 포스트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시퀀스를 가정해봤다.
- PUB/SUB 구조는 AWS 를 활용하여 구현함을 가정했다.
plantUML텍스트 아래 링크를 참조눌러서 uri 에서 png 를 uml 로 변경하면 로딩되는 편집툴에서 확인 가능하다.
👉 plantUML 작성 텍스트 링크
참고자료
'Dev > DD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저 CRUD 코드 예시로 도메인 개념 살펴보기: 도메인 서비스, 리포지토리,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0) | 2025.01.22 |
---|---|
엔티티 - 생애주기를 갖는 객체 (0) | 2025.01.20 |
도메인 주도 설계 - 값 객체 (0) | 2025.01.19 |
<도서관 시스템> 예시로 도메인 다이어그램 이해하기 (2) | 2024.12.10 |
[객체지향의 오해와 사실] 객체 지향의 개념 이해하기 (0) | 2024.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