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nsight/회고11

[RIZZ 3.0]설문 모델 설계하기 앱을 통해 예약한 고객을 대상으로 방문 전/후로 간단한 설문을 통해 데이터를 모아보는 것이 이번 스프린트의 목표였습니다. 요구사항은 다음과 같았습니다.요구사항예약마다 설문을 작성한다.방문전/ 방문후 설문을 보낸다.방문전3일전, 1일전 예약한 시간에 메시지를 보낸다.당일 예약이라면 예약 확정 30분 후 메시지를 보낸다.방문 후방문 완료 후 5분 후에 메시지를 보낸다.3일 후, 6일 후 예약한 시간에 메시지를 보낸다.푸시와 카카오톡 알림으로 보내며, 인박스에 저장되지는 않는다.건너뛰기를 하면 더이상 노출시키지 않는다.요구사항을 통한 모델 구성 힌트“예약마다” 설문을 작성하기 때문에 예약 아이디가 필요하겠네요.“방문 전, 방문 후”라는 타입이 필요해 보입니다.“당일 예약”, “방문 완료 후” 즉, 당일인지 아.. 2025. 3. 25.
[Liven 1.0] 아티스트 허브 - AWS MediaConvert 사용 배경아티스트 허브는 아티스트의 소개페이지입니다. 아티스트의 sns를 모아두고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며, 킥이 되는 포인트는 배경 이미지를 이미지뿐만 아니라 영상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때 원본 영상에서 원하는 시간대를 입력하여 영상을 자르고, .m3u8 파일 형식의 스트리밍 가능하게 저장했습니다. 스트리밍으로 구현하면 전체 파일을 다운받지 않고 재생이 가능하므로 리소스 측면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이를 구현하기 위해 사용했던 AWS MediaConvert의 사용법과 S3 태깅을 통한 수명관리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AWS MediaConvert 사용준비@aws-sdk/client-mediaconvert를 사용해서 작업을 만드는 CreateJ.. 2025. 3. 6.
[Liven 2.0] 포토카드 - S3 리소스 랜덤 배정 배경티켓 등을 담을 수 있는 콜렉션 모델에 포토카드 타입을 추가하여 팬들에게 아티스트와 함께 하는 순간을 기억할 수 있는 포토카드를 주고자 했습니다. 촬영했던 공연의 순간들을 2초 정도의 움짤로 만들어서 선물상자를 열면 티켓과 매칭하여 랜덤 배정된 포토카드가 티켓의 커버로 들어가는 기능을 구현했습니다.해당 공연은 페스티벌처럼 여러 날짜에 거쳐 다양한 아티스트가 출연했기 때문에 포토카드 이벤트를 위해 티켓 구매자에게 선호 아티스트에 대한 설문을 진행했었습니다. 움짤의 제작과 S3 업로드를 완료한 뒤, 진행했던 기능을 살펴보겠습니다.돌아보며이전에 짰던 코드들을 다시 살펴보니, 함수들의 책임 분리가 잘 되지 않았던 게 가장 눈에 띄었습니다. 읽기가 좀 어렵더군요. 단일책임원칙을 준수하는 것의 중요성을 다시금 .. 2025. 3. 6.
[Fangle] K-pop 글로벌 커뮤니티 - 짤 기반 소통 & 입덕 아카이브 배경Fangle은 “짤 기반의 글로벌 케이팝 커뮤니티 서비스”입니다. 다양한 플랫폼의 짤들을 모아서 볼 수 있고, 숏폼 형태로 넘기면서 살펴볼 수 있으며, 해당 짤에서 다른 팬들과 실시간 소통이 가능한 서비스였습니다. 핵심 모델은 짤들 및 그것의 그룹화를 담당하는 Feed와 유저가 짤들에 댓글을 남기며 소통할 수 있게 하는 comment 였습니다. 그중에서 회고를 하며 돌아볼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Post 모델트랜잭션 차등 적용비동기 메시징 적용Comment 모델좋아요 취소 및 복구insert와 save쿼리빌더 사용법분기 처리를 위한 SQS 메시지 구조Redis 활용Post 모델구조Feed피드는 다양한 짤들을 묶어주는 그룹 역할을 합니다. 주로 아티스트로 엮이겠지만, MAMA 무대나 연말 가요제 같은 .. 2025. 3.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