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ev/Git8

2.7 Git의 기초 - Git Alias 👉 [공식문서] 2.7 Git Alias git config --global - 깃 명령어 별칭 등록 가능 $ git config --global alias.co checkout $ git config --global alias.br branch $ git config --global alias.ci commit $ git config --global alias.st status $ git config --global alias.last 'log -1 HEAD' $ git config --global alias.unstage 'reset HEAD --' 2022. 11. 24.
2.5 Git의 기초 - 리모트 저장소 👉 [공식문서] 2.5 리모트 저장소 $ git remote - 리모트 저장소 단축 이름 확인 $ git remote -v - 리모트 저장소 단축 이름 + url 확인 - 연결된 리모트 저장소 모두 보여줌 $ git remote show - 저장소 세부 정보 확인 2022. 11. 24.
2.4 Git의 기초 - 되돌리기 👉[공식문서] 2.4 되돌리기 $ git commit --amend 커밋 덮어쓰기 (메시지 수정 가능) i 를 눌러서 insert 모드로 변경 후, 메시지 수정 esc 를 눌러서 모드 변경 후, :wq 를 입력하여 입력창 종료 => 커밋 메시지만 변경하더라도 아예 새로운 커밋이 생성되는 것(해시값이 다름) $ git reset HEAD Stageing Area -> Working Directory 옵션없이 reset 명령어만 사용하는 경우, 워킹 디렉토리는 안전하다. $ git checkout -- 수정 자체를 되돌린다. 하이픈 두 개 뒤에 공간을 두고(스페이스) 파일명을 입력 원래 파일의 내용으로 덮어 쓰는 것이므로 위험함 => git stash 혹은 브랜치를 파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안전함 2022. 11. 24.
2.3 Git의 기초 - 커밋 히스토리 조회하기 👉 [공식문서] 2.3 커밋 히스토리 조회 #커밋 히스토리 조회하기 git log -p --patch : 각 커밋의 diff 결과 -2 : 최근 2개 결과만 보여줌 (-1, -3 등 숫자 반영한 개수) --oneline : 커밋의 sha1 체크섬 앞 7자리 & 브랜치 & 커밋 메시지 한줄로 출력 --pretty=oneline --abbrev-commit 을 사용한 것과 동일함 --graph : 브랜치와 머지 히스토리를 보여주는 아스키 그래프 --pretty=format : 커밋 포맷 설정 가능 (옵션은 상기 공식문서 페이지 참조) --since="날짜 조건" (--since & --until 은 --after & --before 과 동일) 2.weeks / "2022-11-19" (절대적 시간) / "2.. 2022. 11.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