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80 [Terraform] 테라폼 기본 사용법 테라폼 코드 레포 GitHub - seatbelt92/learn-terraform: for learning terraformfor learning terraform. Contribute to seatbelt92/learn-terraform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github.com1. Provider 설정main.tf에 아래 블록을 설정해준다. 이 설정을 해야 테라폼이 aws api와 통신할 수 있다.terraform { required_providers { aws = { source = "hashicorp/aws" version = "~> 5.0" } }}provider "aws" { region = "ap-.. 2025. 5. 10. OpenVPN으로 AWS RDS 접속하기 AWS에서 인프라를 구성하면 일반적으로 RDS는 private subnet에 두게 된다. 그러면 RDS 접속은 내부 VPC에 있는 리소들에게만 허락되며, 로컬에서 RDS에 접속해서 테이블을 확인하는 것은 어렵다.이때, VPN 클라이언트를 활용하면 로컬 네트워크가 AWS VPC 내부에 있는 것처럼 동작하여 내부 리소스에 대한 접근할 수 있다. 이때 보안그룹 설정을 통해, 비단 RDS뿐만 아니라 EC2(SSH, RDP, HTTP), ElasticCache, VPC에 연결된 Lambda 등의 리소스에 대한 접근을 허용할 수 있다.또한, 여러 명의 개발자가 동시에 접근해야 할 경우, 로컬 포트를 특정 사용자에게만 여는SSH 포트포워딩보다 VPN을 사용하는 것이 훨씬 유리하다.VPNPrivate Network프라.. 2025. 5. 1. 아임웹과 AWS를 연결해서 사용하기 & Route53 이관 DNS 이해하기DNS란다른 네트워크의 기기들이 서로 통신을 하려면 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주소가 필요하고, 이를 IP주소라고 한다. 이때,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IPv4 주소는 32비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8개 비트씩seatbelt.tistory.com 배경도메인과 웹 페이지만 있는 서비스에서 AWS와 연동한 서비스를 구축하는 것을 원하는 상황이다. 이때, DNS 관련 사항을 어떻게 처리할 수 있을지 살펴보자.호스팅kr에서 도메인을 구매했다.아임웹에서 웹 퍼블리싱을 하고, 아임웹의 네임서버를 호스팅Kr에서 구매한 도메인에 입력했다. (이를 통해, 해당 도메인으로 접속하면 아입웹의 네임서버로 연결된다.)목적이러한 상황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것은 “도메인을 활용해서 AWS를 연결하고, 람다를 기반으로 웹 애플리.. 2025. 4. 25. DNS 이해하기 DNS란다른 네트워크의 기기들이 서로 통신을 하려면 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주소가 필요하고, 이를 IP주소라고 한다. 이때,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IPv4 주소는 32비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8개 비트씩 묶어서 4개의 옥텟으로 나누어 각각을 10진수로 변환한 형식(ex. 111.222.111.222)으로 표현한다. 이때, 하나의 옥탯은 256을 넘지 못한다. (2^8 = 256) 그런데 인터넷을 사용하는 일반 유저 입장에서 특정 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해, 임의의 숫자 형태의 주소를 외우는 것은 매우 불편하다. 그래서 숫자 형태의 주소가 아니라, naver.com과 같은 외우기 쉬운 주소를 IP 주소와 매핑하여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데, 이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DNS(domain name system)다. 네.. 2025. 4. 23. 이전 1 2 3 4 5 6 ··· 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