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71 [ReTool] 환경 분리 후, S3 연동하여 이미지 여러개 업로드하기 어드민툴로 리툴이 확정되어, 어드민을 담당하며 환경 분리 및 s3 연결을 시도했던 것을 정리해봤습니다.업로드된 uri를 저장하는 과정에서 환경별로 다른 버킷명을 설정하지 않아서 상용에 개발환경의 주소의 이미지가 올라가기도 하고,이미지 여러개를 업로드하고, 테이블 형식으로 보여주고, 그것의 순서를 변경하고, 그에 따른 uri를 api 호출 시 전달하는 등 클라이언트에서 state 관리를 하는 것을 경험할 수 있었습니다. 러닝커브는 조금 있지만, 직접 구성한 로직을 클라이언트에 반영하는 것은 백엔드, 클라이언트 연동에 있어서는 확실한 장점이 있었습니다.이번 글을 시작으로 공유할 것들이 생기면 간헐적으로 글을 작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환경 분리 및 환경변수 설정리툴 우측 상단의 사용자 아이콘을 누르면 Se.. 2025. 1. 13. AWS CloudWatch 대시보드 구성 및 경보 설정하기 AWS CloudWatch 대시보드 구성1. 대시보드 지표 설정대시보드 생성하기를 누르고, 원하는 데이터와 위젯 유형을 선택한 뒤 넘어간다. 여기선 디폴트값으로 진행했다. 2. 소스쿼리 설정특정 api의 메소드별 호출수에 대한 지표를 설정했다.네임스페이스: ApiGateway > 메소드별지표이름: count()필터링 기준: 타겟 api 이름 선택 & Options 메서드 미선택그룹화 기준: method, resource 선택그래프에서 표기될 이름으로 이렇게 세팅하면 GET /your-api/count 처럼 표기된다. 3. 그래프에 표기되는 이름 수정그래프 쿼리를 누르면 기본으로 설정된 레이블인 "쿼리1"이 각 항목의 앞에 표기된다.이를 제거하려면 "그래프로 표시된 지표" 탭에서 레이블을 지워주면 된다. .. 2025. 1. 6. [타입스크립트로 살펴보는 디자인패턴 11] 컴포지트 패턴 🙋♂️ 디자인패턴 구현코드 깃헙컴포지트 패턴(Composite Pattern)컴포지트 패턴으로 객체 트리구조로 구성해서 부분-전체 계층 구조를 구현한다. 컴포지트 패턴을 사용하면 클라이언트에서 개별 객체와 복합 객체를 똑같은 방법으로 다룰 수 있다.각 항목들을 트리구조로 구성하여 부분-전체 계층 구조(part-whole hierarchy)를 생성하면 개별 객체와 복합 객체에서 동일한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자식 원소가 있는 원소를 노드(node)라 부르고, 자식이 없는 원소를 잎(leaf)이라고 부른다.클라이언트는 Component 인터페이스를 사용해서 복합 객체 내의 객체들을 조작할 수 있다.Component는 복합 객체 내에 들어있는 모든 객체의 인터페이스를 정의한다. 복합 노드와 잎에 관한 .. 2025. 1. 3. [타입스크립트로 살펴보는 디자인패턴 10] 반복자 패턴 🙋♂️ 디자인패턴 구현코드 깃헙반복자 패턴(Interator Pattern)반복자 패턴은 컬렉션의 구현 방법을 노출하지 않으면서 집합체 내의 모든 항목에 접근하는 방법을 제공한다.반복자 패턴을 사용하면 컬렉션 객체 안에 들어있는 모든 항목에 접근하는 방식이 통일되어 있기 때문에 종류에 관계없이 모든 집합체에 사용할 수 있는 다형적인 코드를 만들 수 있다. 또한 모든 항목에 일일이 접근하는 작업을 컬렉션 객체가 아닌 반복자 객체가 맡게 되면서 집합체의 인터페이스와 구현이 간단해지고, 집합체는 원래 자신이 하는 일인 객체 컬렉션 관리에만 전념할 수 있게 된다.메뉴판 시스템코드배열 컬렉션과 Set 컬렉션으로 이루어진 메뉴판에서 컬렉션 타입에 무관하게 반복자를 활용하여, 두 메뉴판에서 비건메뉴를 출력하는 .. 2025. 1. 3. 이전 1 ··· 4 5 6 7 8 9 10 ··· 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