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타입스크립트14

람다 핸들러에서 옵셔널 파라미터 처리하기 AWS 람다 핸들러에서 옵셔널인 파라미터를 처리할 때, Number & Boolean 타입을 다루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숫자 파라미터파라미터로 Number 타입을 처리할 때 마주할 수 있는 에러는 NaN 에러입니다.Error: Unknown column 'NaN' in 'where clause'  이것은 undefined를 숫자로 변환하려고 했기 때문에 발생하는 에러이며, 두 가지 방법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파라미터를 옵셔널이라고 전제했기 때문에 값이 있을 때는 변환이 될 것이고, 없을 때는 undefined가 암묵적으로 할당될 것입니다. 그치만 타입스크립트에서 undefined를 명시적으로 할당하지 않는다면 이어지는 로직에서 타입추론 시 에러가 나지 않도록 타입좁히기가 필요합니다. 그래서 애초에 .. 2024. 7. 29.
[TS] 클래스 속성과 접근제어자 # JavaScript - TypeScript에서 this 사용을 위한 생성자 함수 구분 TS에서는 this를 통해 클래스의 속성에 접근하려면 초기화 필요 생성자 함수 밖에서 초기화 생성자 함수 안에서 초기화 - 매개변수에 접근제어자 설정 // 생성자 함수 외부에서 초기화 class ClassInTS1{ public name: string; constructor(name:string){ this.name = name } } // 생성자 함수 내부에서 초기화 class ClassInTS2{ constructor(public name:string){ this.name = name } } # 접근제어자(access modifiers) - 속성 접근제어자 구분 public - 클래스 외부에서 접근 가능 (def.. 2022. 11. 5.